전체 글 14

계획경제체제 vs 시장경제체제

계획경제체제계획경제체제란 국가가 각 경제주체에게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 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생산하고 소비할 것인가를 직접 명령함으로써 기본적인 경제문제를 풀어 나가는 경제체제를 일컫는다.계획경제체제에서는 국가가 사회의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각 경제주체에게 생산 목표를 배정하고 소비량을 배급함으로써 특화된 경제의 사회 조정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였다. 그 예로 이 체제를 채택했던 구소련 이 붕괴하고 북한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 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이유는 무엇일까?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에서 명령의 주체인 국가가 완전한 명령 을 내리기 위해서는 생산자원에 대한 정보는 물론 모든 경제주체들 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정..

나이스경제 2024.10.29

경제생활의 기초 경제체제란?

경제생활의 기초4. 경제체제 경제체제란? 부족한 자원을 가지고 무엇을 생산해서 누구에게 그리고 어떠한 방 식으로 분배하느냐의 갈등은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 처럼 자원의 희소성 때문에 생기는 경제문제들을 풀어 나가는 질서와 제도의 틀을 '경제체제(economic system) 라고 한다. 경제체제는 시 장경제체제(자본주의 경제체제)와 계획경제체제(사회주의 경제체제) 로 크게 구별된다. 현대사회에서 모든 경제체제는 생산의 특화(specialization)에 바탕 을 두고 있다. 특화란 어떤 생산주체가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만을 생 산하거나 혹은 특정한 생산활동만을 전담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모든형태의 특화는 교환을 전제로 한다. 계획경제체제란 생산과 교환이 국 가의 강제적인 명령으로 이루어지는..

나이스경제 2024.10.28

경제생활의 기초_경제주체와 경제문제

3. 경제주체와 경제문제이제 우리는 자원의 희소성 때문에 선택이 불가피하고 모든 선택에 는 기회비용이라는 대가가 따른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게 되었다. 경제학은 바로 이러한 선택의 문제, 즉 경제문제를 사람들이 어떻게 해결해 가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사람들이 무한한 욕망의 충 족을 위해서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경제주체 경제문제를 좀더 체계적으로 생각해 보자. 욕망을 직접적으로 충족 시키는 행위를 소비(consumption)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자원들은 대부분의 경우 직접 소비하기 어려운 형태를 지니고 있다. 토지를 경작하여 곡식과 채소를 생산하여야 비로소 우 리는 이것으로 식욕을 해결할 수 있다. 즉, 토지는 중요..

나이스경제 2024.10.27

경제생활의 기초- 삶이 곧 경제활동, 경제문제는 결국 선택의 문제

경제 생활의 기초1. 삶이 곧 경제활동  만일 우리에게 입을 옷과 먹을 쌀 그리고 살 집이 없다면 어떻게 될 까? 일상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가 해결되지 못한다면 우리 는 인간답게 살 수 없을 것이다. 최소한 인간답게 그리고 어느 정도는 삶의 여유를 가지고 살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 로 한다. 의식주를 해결해 주는 옷과 쌀 그리고 집과 같은 기본적인 재화들 은 물론이고, 선생님의 가르침과 의사의 친절한 진료 그리고 스트레 스를 풀게 해 주는 재미난 영화와 같은 서비스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해 주는 것들이다. 이처럼 사람에게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모든 활동을 경제활동이라고 한다. 즉,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 곧 경제활동인 것..

나이스경제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