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4

바가지 상혼은 왜 생길까? - 경쟁의 중요성과 진입장벽의 힘

경쟁의 중요성 진입장벽의 해소 주말이나 휴일에 가족과 놀이공원에 가 보면 가끔 짜증나는 일이 생긴다.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일 중의 하나가 식사시간이다. 입장료를 내고 들어온 이상 밖으로 다시 나가서 식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놀이 공원 내에 있는 식당을 이용하게 되는데, 질은 그렇다 치더라도 음식 값이 놀이공원 밖의 식당에 비해 매우 높아 당황하게 된다. 여름휴가를 맞아 해변이나 계곡을 찾아도 이와 유사한 '바가지 상 혼'을 경험하곤 한다. 이에 대해 흔히 사람들은 행정단속을 제대로 하 지 않았다는 이유로 관련 당국을 비난한다. 그러나 행정단속이라는 강제력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커다란 비용만 수반될 통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놀이공원 내의 식당 음식 값이 비싼 이유..

나이스경제 2024.11.09

알기 쉽게 풀어보는 독점적 경쟁시장과 과점시장의 모든 것

독점적 경쟁시장 독점적 경쟁시장이란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성격을 함께 지 니고 있는 시장을 말한다. 이 시장의 특성은 공급자들은 다수이지만, 공급자마다 어느 정도 특징적인 재화를 시장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의 차별화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재화의 경 우에는 품질 등의 차이는 물론이고 상표나 색상 그리고 디자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며, 서비스의 경우에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질이나 편 의에 차이가 생긴다.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제공되는 재화들이 다소 다르기는 하 지만, 이들 재화는 서로 밀접한 대체관계를 갖고 있 기 때문에 가격 변동에 어느 정도 민감한 반 응을 보인다. 독점적 경쟁시장의 또 다른 특성은 완전경쟁시장과 마찬가지로 새로 운 기업의 시장 진입과 기존 기업의 시장 퇴출에 아무런 ..

나이스경제 2024.11.08

가격 수용자들의 무대, 완전경쟁시장의 특징과 의의

• 경쟁이 충만한 시장 지금까지 살펴본 시장은 경쟁 여건이 충분하여 가격기구가 잘 작동 하는 매우 이상적인 시장이다. 우리는 이러한 시장을 완전경쟁시장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혹은 줄여서 경쟁시장이라고 한다. 완전경쟁시장이란 수많은 가계와 기업이 주어진 가격으로 동일한 품질의 재화를 자유롭게 사고파는 시장을 말한다. 이 시장의 거래자 들은 재화의 가격과 품질 등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누 구나 자유롭게 시장에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시장에서 각 가계와 기업이 사고파는 재화의 양은 시장 전체 의 거래량에 비추어 볼 때 미미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개별 소비자 와 개별 생산자는 시장가격을 자신의 영향력으로는 변경시킬 수 없다 고 보고 주어진 시장가격..

나이스경제 2024.11.05

가격의 두 얼굴: 지표기능과 자원배분의 이해

1.만능에 가까운 가격의 기능앞에서 공부한 대로 균형가격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곳 에서 결정된다. 그러나 가격은 단순히 소비자와 생산자의 의도를 일 치시키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 즉 가격은 모든 사람들의 의도가 합 해져서 결정되지만 결정된 가격은 그 스스로 소비자와 생산자의 의사 결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이다. 시장에서 균형가격이 일단 결정되고 나면, 개별 소비자들은 이 가 격 수준에서 재화를 구입할 것인가 아니면 구입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개별 생산자들도 시장의 균형가격을 보고 생산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시장경제에서 가격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경제활동에 대한 지표기능과 자원의 자율적인 배분기능 을 수행한다. • 경제활동에 대한 지표기능. 시장..

나이스경제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