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시장 균형의 원리: 수요·공급 곡선의 만남과 균형가격의 형성

niceEconomy 2024. 10. 31. 23:13

시장 균형의 원리: 수요·공급 곡선의 만남과 균형가격의 형성
시장 균형의 원리: 수요·공급 곡선의 만남과 균형가격의 형성

 

균형가격과 균형 거래량의 결정

지금까지 우리는 소비자 한 사람을 대상으로 개별 수요량과 개별 수요곡선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우리가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는 시 장에는 수많은 소비자들이 있다. 개별수요로부터 시장수요를 간단하 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관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재화가 사과이며 소비자는 한은이와 중은이 두 사람이라 가정한다.
만일 사과 한 개의 가격이 300원일 때 한은이와 중은이의 사과 수요 랑이 각각 5개와 2개라면. 시장 수요량은 이 가격수준에서 7개가 된다.
또한 사과 가격이 500원으로 올라 한은이와 중은이의 사과 수요량이 각각 3개와 1개로 줄어들면, 이때의 시장 수요량도 4개로 작아진다.
이처럼 각각의 재화 가격수준에서 시장에 나와 있는 모든 소비자들 의 개별 수요량을 더해 주면 시장 수요량을 구해 낼 수 있다. 즉, 소비 자들의 개별 수요곡선을 합해서 시장 수요곡선을 알아낼 수 있는 것 이다. 시장수요곡선은 수요의 법칙에 따라 음(-)의 기울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한 재화를 생산하는 모든 기업들이 각각의 가격수준에 서 공급하려는 양을 모두 더하여 시장 공급곡선을 얻을 수 있다. 동일 한 재화를 생산하는 기업의 집합을 산업이라고 하므로, 시장 공급곡 선을 산업 공급곡선이라고도 부른다. 시장 공급곡선은 공급의 법칙을 반영하여 양(+)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제 시장 수요곡선과 시장 공급곡선을 이용하여 시장에서 실제로 실현된 수요량이나 공급량, 즉 거래량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이에 대한 대답은 주어진 어느 가격수준에서 시장 수요량 과 시장 공급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생 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가격수준에서 시장 수요량이 시장 공급량보다 많 다고 해 보자. 이러한 '초과수요 상태에서는 주어진 가격수준에서 재화를 사고자 하는 사람들은 원하는 수량을 모두 얻지 못한다. 현재 의 가격에서 원하는 양을 구입하지 못한 사람들 중 재화를 간절히 원하는 사람들은 좀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한이 있더 라도 이 재화를 사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면서 생산자 들에게는 더 많이 공급하려는 유인이 생겨나게 된다. 물론 가격이 올라가면서 수요량은 줄어 들기 때문에 이 재화를 구하지 못한 사람도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 되어 가격이 충분히 오르면 시장 수요 량과 시장 공급량이 일치하는 결과 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한편 어떤 가격수준에서 시장 공 급량이 시장 수요량을 초과하게 되면 위와는 반대의 과정이 나타날 것이 다. 즉 '초과공급' 상태에서는 생산자들이 팔고 싶은 양만 큼 모두 팔 수 없게 된다.
일부의 생산자들은 가격을 조금 낮추어서 다른 경쟁자들로부터 판매량을 빼앗으려고 할 텐데.
한 생산자가 가격을 낮추면 경쟁자들도 덩달아 가격을 낮추게 된다.
이처럼 초과공급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공급의 법칙에 따라 시장 공급량은 줄고 수요의 법칙에 의해 시장 수요량은 늘어난 다. 이러한 조정 과정이 계속되어 가격이 충분히 내리면 시장 공급량 과 시장 수요량은 결국 일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조정 과정을 거쳐 어느 가격수준에서 시장 수요량과 시 장공급량이 일치하여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수량을 사고팔게 된다면. 이때의 가격과 거래량에는 변화의 여지가 없어진다. 이러한 상태를 균형(equilbrium)이라고 한다.
균형이란 변화를 가져오는 유인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즉 어느 누 구도 현재의 결과를 변화시킬 유인을 갖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 시 말해 균형 상태란 일단 도달하면 다른 상태로 바뀔 유인이 없어서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를 뜻한다.
경제에서 말하는 균형이라는 개념은 사실 물리에서 원용한 것이다.
표면이 완전하게 고른 어느 바닥에 우유를 엎질렀다고 해 보자. 그러면 엎질러진 우유는 잠시 동안 움직임을 보인 후 정체 (1층) 된다. 이 상태는 외부로부터 더 이상의 충격이 없는 한 지속되는데, 바로 이 상 태를 균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시장에서 소비자와 생산자는 가격과 거래량을 상호 조정하면서 일 치를 보게 된다. 이 경우 서로의 의도가 일치하는 과정은 누가 시켜서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실 소비자들과 생산자들은 시장에서 각자의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동한다. 그러나 두 경제주체 모두가 가장 만족스러운 상태에 이르게 하는 조정이 시장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조정 기정이 바 로 아담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의 기능인 것이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우리가 모르는 사 이에 조정이 이루어진 결과이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 거래량과 가격 수준이 결정되면 우리는 시장에서 균형이 달성되었다고 하며 이때의 가격과 거래량을 균형가격과 균형 거래량이라고 하는 것이다. 어느 재화의 시장 균형은 시장 수요곡선과 시장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곳에 서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