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통한 시장균형의 이해
시장의 균형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생각해 보자. 똑같 은 재화를 어떤 사람은 팔려고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이를 사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물론 재화를 판매하려는 사람은 생산원가보 다 더 높은 가격을 받아 금전적인 이익, 다시 말해 '이윤(proft) 을 얻고, 재화를 구매하려는 사람은 이를 통해 주관적인 만족감. 즉 표 용(utility)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재화를 판매하는 생산자는 생산원가를 초과하는 금전상의 이익인 이윤을 얻게 되는데 이를 생산자잉 (producer's Surrplus) 라고 부 르며, 재화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가격을 지불하여 잃게 되는 효용보 다 더 큰 만족을 얻게 되는데 이를 '소비자잉여(consumer's sur plus)' 라고 한다. 이처럼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에서 교환을 통해 얻 는 이익을 '교환의 이득 이라고 일컫는데, 이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합으로 나타난다.
시장에서 어떤 재화에 대한 자발적인 교환이 이루어질 때 거래의 성립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재화의 가격이다. 재화 가 격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재화를 사고 자 하는 욕구인 수요(demand) 이며, 다른 하나는 재화를 팔고자 하 는 욕구인 '공급(supply) 이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의 가격은 바 로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수요와 공급
시장의 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개별 소비자들의 수요와 개별 생산자들의 공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개별적인 수요와 공급을 알면 시장수요와 시장공급은 각각 개별수요와 개별공급을 합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어떤 재화를 사고자 하는 욕구를 수 요, 소비자들이 사고자 하는 수량을 수요량이라고 부른다. 즉 수요량 이란 소비자가 주어진 조건하에서 실제로 구매하기를 원하는 재화의 양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재화에 대한 수요량을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해당 재화의 가격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선 해당 재와 가격 이외의 요인들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해당 재화의 가격이 변 함에 따라 재화의 수요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관심 대상 이외의 다른 모든 것들에는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 는 것을 세터리스 패리버스(eteris pariblus) 가정이라고 부른다.
세터리스 패리버스는 라틴어로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other things being equal) 는 뜻이다.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어떤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은 늘어 나고,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수요량은 감소한다. 가격과 수요량 사이 의 이와 같은 음(-)의 관계를 수요의 법칙'이라고 한다.
어느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도 나타낼 수 있 는데, 이를 수요곡선 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수요의 법칙을 만족하 는 재화의 수요곡선은 음)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
한편 생산자들의 팔고자 하는 욕구를 공급, 팔고자 하는 수량을 공 급량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공급량이란 생산자가 특정한 조건하에서 팔려고 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수량을 뜻한다.
수요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것 역시 해당 재화의 가격이다.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 는 다른 모든 요인들이 변하지 않는다 가정하면, 가격이 높아질수록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량은 확대된다. 이는 가격이 상승하면서 그전까지는 수지가 맞지 않아 생산을 하지 않던 사람들이 새로이 생 산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생산자들도 생산량을 늘리기 때문이 다. 물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어느 해에 가뭄으로 배추의 값이 크게 오르는 경우, 고수의 을 노리는 농민들이 배추 농사를 많이 지어 배추의 공급량은 늘어나게된다. 그러나 과다한 배추의 공급량이 결국 배추 값의 하락으로 이어지 게 되면, 그 다음해 배추의 공급량은 줄어들게 된다. 가격과 공급량 사 이에 나타나는 이러한 양(+)의 관계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어느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공급곡선 이라고 한다. 따라서 공급의 법칙을 만족하는 재화의 공급 곡선은 양(+)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