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보는 독점적 경쟁시장과 과점시장의 모든 것
독점적 경쟁시장
독점적 경쟁시장이란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성격을 함께 지 니고 있는 시장을 말한다. 이 시장의 특성은 공급자들은 다수이지만, 공급자마다 어느 정도 특징적인 재화를 시장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의 차별화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재화의 경 우에는 품질 등의 차이는 물론이고 상표나 색상 그리고 디자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며, 서비스의 경우에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질이나 편 의에 차이가 생긴다.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제공되는 재화들이 다소 다르기는 하 지만, 이들 재화는 서로 밀접한 대체관계를 갖고 있 기 때문에 가격 변동에 어느 정도 민감한 반 응을 보인다. 독점적 경쟁시장의 또 다른 특성은 완전경쟁시장과 마찬가지로 새로 운 기업의 시장 진입과 기존 기업의 시장 퇴출에 아무런 장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상생활에서 독점적 경쟁시장의 예는 백화점의 명품관이나 음식점 혹은 병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업체는 의복의 디자인과 색상, 음식의 독특한 조리법. 그리고 의사의 명성 등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차별화를 다 양하게 꾀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에서 기업들은 가격경쟁보다는 품질과 디자인의 차별화와 광고 등의 비가격경쟁에 초점을 두고 있다.
독점적 경쟁기업은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재화를 공급함으로써 어 느 정도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독점적 경쟁기업은 단 기적으로 어느 정도의 초과이윤을 얻게 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기업이 이 산업에 진입하여 비슷한 재화를 공급하게 되면서 초과이윤은 결국 사라지게 된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상품 차별화라 는 특성에 의해 독점적 요소를 가지기 때문에 수요자는 완전경쟁시 장보다 다소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된다. 그러나 이 점 때문에 반드 시 독점적 경쟁시장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할 수는 없다. 완전경쟁 시장에서는 동질의 재화만이 공급되는 데 반해, 독점적 경쟁시장에 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여 차별화된 재화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과점시장
소수의 기업만이 서로 경쟁하면서 한 재화를 공급하는 시장 형태를 과점시장이라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점시장은 제 조업의 주요 업종들이다. 텔레비전과 냉장고 또는 승용차 등 대량으 로 소비되는 상품들은 주로 과점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과점기업들 중 어느 한 기업의 가격 변화 혹은 생산량의 변경은 다른 기업들에게 큰 영향을 준다. 이에 대한 다른 기업들의 반응 또한 가격이나 생산량 을 처음 변경시킨 기업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 기업이 자신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격을 낮춘다고 가정한 다. 그러면 다른 기업들은 이에 반응하여 가격을 낮출 것인지 아니면 현 재의 가격을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다른 기업이 현재의 가격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 처음에 가격을 낮춘 기업의 시장점유율은 크게 올라가고 가격을 낮추지 않은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은 하락할 것이다.
반면 다른 기업도 동일하게 가격을 낮춘다면 처음에 가격을 떨어뜨 린 기업은 원래의 의도를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과점시장 에서는 다른 기업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한 기업의 가격 변동 의 성과가 달라진다.
과점시장은 기업 간의 의존관계가 크기 때문에 한 기업은 다른 기 업의 반응을 감안하여 가격이나 생산량을 결정한다. 따라서 과점시장 에서의 가격수준은 완전경쟁시장보다 높고 공급량은 적은 이 일반 적인 경향이다.
이보다 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과점기업들이 이윤을 높이기 위 해 서로 담합하여 상호 간의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기업 간의 담합은 가격 책정과 생산 및 판매량의 할당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담합이 명시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카르텔(car tal) 이라고 한다.
1973년 10월 전 세계를 불황의 늪에 빠뜨린 제1차 석유파동을 예 로 들어 보자. 이 충격으로 세계는 1930년대 초반의 대공황 이래 최 대의 경제위기를 맞았는데, 이는 중동 산유국이 주축이 된 석유수출
7717(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에서 석유 생산을 급격히 줄이고 가격을 한꺼번에 몇 배로 올리기로 담합했기 때문에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와 같이 석 유가 한 방울도 나오지 않는 나라가 받은 타격은 막대했다.
그렇다면 OPEC는 어떻게 해서 석유 생산을 줄이는 데 성공할 수 있었을까?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OPEC의 회원국 수가 적었기 때문이다. 공급자들이 몇 안 되면 의견을 통일하기 쉬워 담합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즉 카르텔은 과점기업들 사이에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카르텔은 동종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과점기업들이 특정 시장을 지 배할 목적으로 결성하는 기업 연합체이다. 카르텔은 마치 여러 개의 공장을 갖고 있는 독점기업처럼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한다. 이 때문 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법으로 카르텔을 금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 카르셀을 금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카르텔 담합을 가장 엄격히 금지하고 있 는 미국에서는 사업자들끼리 가격을 올리려는 담합 의도를 가지고 식사시간을 이용하여 모임을 갖는 경우까지도 조사 대상이 된다고 한다.